
강원도 속초나 고성을 골프치겠다고 겨울철에 가는 것이 보통의 경우라면 옳은 선택이 아니겠으나 코로나 시국에 어디든 가야한다면 썩 나쁜 것도 아니라고 한다. 소위 영동 지방은 겨울철에도 눈이 적게 오고 포근하다고들 했고, 겨울에 그쪽으로 가보는 것은 나로서는 이번이 처음이다. Pine Ridge가 "파인리즈"로 읽히는 게 맞는지는 모르겠지만 (청심국제중학교로 유명한 모 종교재단의 소유이니 아마 맞는 거겠지?) 아무튼 여기도 강원도 고성에 설악산을 병풍처럼 두르고 만들어진 27홀 (파인/리즈/레이크) 골프장이다. 몇년전 처음 여기를 갔을 때에는 첫날 델피노에서 18홀을 돌고는 바닷가 횟집에서 거하게 저녁을 먹었고, 파인리즈 골프텔에서 잤으며, 파인리즈의 레스토랑에서 조식을 먹었고, 아침 일찍부터 리즈/파인의..

사우스링스에서의 이틀째인데, 어제의 카일코스에 이어 오늘은 Jim Engh이 디자인한 27홀 중에서 B/C 코스의 순서로 18홀을 돌았다. 이 사람도 못지 않게 유명한 코스 설계자이긴 한데 주로 산악지형에 강한 분이어서 (우리나라에는 극악의 난이도로 유명한 장수 cc가 그의 설계) 바닷가 매립지에는 어떤 식으로 코스를 만들었을지 더 기대가 되었던 날이다 (막상 쳐보고나니까 그저 평평할 뿐이라서 자연은 어쩔 수 없는가 아쉬움도 있었음). 그나저나 남쪽 끄트머리까지 내려왔어도 추운 날씨라서 이런 상황에서 이 돈을 주고 골프치는 것이 맞나 살짝 고민하면서 시작했다. 패키지에 포함된 클럽하우스 조식은 역시 전라도야 싶게 맛있었다. 아무튼 시작하는 B 코스부터 (어제의 카일코스에 비해) 좀 짧고 좁은 느낌이다. ..

전남 영암의 F1 경기장 옆으로 자리잡은 대규모 골프장인 사우스링스는 솔라시도라는 이름으로 기획된 대규모 도시계획의 일부인데 어째 결과적으로 골프장들만 현실화된다는 느낌이지만 아무튼 개장한 이후부터 계속 가보고싶었다. 매립지에다가 만들어서 이름부터가 링크스인데 한쪽은 Kyle Phillips의 설계로 18홀을, 옆에다가는 Jim Engh 설계로 짐앵코스가 27홀이니 두 거장이 어떤 식으로 코스를 디자인했을까 궁금했다. Kyle Phillips는 우리나라에서는 남해의 사우스케이프 오너스를 설계했지만 그보다는 스코틀랜드의 Kingsbarns나 스페인의 Velderrama 등 탑코스의 디자이너로 잘 알려진 사람이다. 사우스링스는 가격이 일단 저렴하고, 노캐디에 (제한사항이 좀 있는 모양) 카트가 페어웨이로 들..

제주도 골프장의 역사는 실은 산업화와 이에 따른 도로건설과 관련이 있다. 섬의 가운데를 남북으로 가르는 소위 516 도로가 건설된 1960년대 초반에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제주 컨트리클럽이 만들어졌고, 거기가 아마 우리나라에서는 네번째인가 만들어진 골프장이라고 한다. 이어 근방에 오라 cc 등이 허가되어 개장했지만 제주시에 가까운 쪽으로 몰려있었고, 본격적으로 제주도가 골프천국이 된 것은 공항에서 중문까지 이어지는 1135번 국도를 (예전에는 서부산업도로라고도 불렀다) 따라 우후죽순으로 골프장들이 만들어진 이후가 된다. 본격적으로 골프의 붐이 일어난 이후에 만들어진 코스들이라서 대개가 유명한 설계자를 불러다가 많은 돈을 들여서 만들었고, 호불호는 있을지언정 대충 만들어진 골프장은 없는 지역이다. 제주시..

제주도에서 라헨느 (La Reine)는 이번이 두번째 방문인데 몇년전에는 이런 골프장도 있었어? 했다가 의외로 괜찮다고 느꼈던 기억이었고, 요즘에는 어디든 부킹만 된다면 찬밥 더운밥을 가릴 상황이 아니다. 그러고보니 그때는 부킹을 부탁한 여행사에다가 (맨날 앞으로 지나치기만 했지 가본 적이 없어서 궁금했었던) 제피로스 (지금은 아마 그린필드로 이름을 바꾼 것으로 안다)를 잡아달라고 했더니 엥? 제피로스라니 대체 왜요? 왜 그런 데를 가보고싶으신데요? 그런 대답을 들으며 라헨느를 추천받았었다 (덕택에 그린필드는 아직도 내가 가보지 못한 제주도 골프장 리스트에 남아있다). 라헨느를 누가 설계했는지 나와있지는 않아도 히든밸리 등의 설계자로 나름 유명한 (그러나 나와는 별로 궁합이 맞지 않았던) 김재열 씨가 여..

가평의 썬힐 바로 옆에 위치한 리앤리 골프클럽에 처음으로 가본 것이 몇년전에 다니던 골프연습장에서 월례회를 한다고 따라갔었고, 이후에 한번인가 갔었는데 두차례 모두 레이크/하이랜드 코스의 순서로 (당시에는 스카이 코스가 만들어지기 전이었음) 돌았었다. 누가 설계했는지를 찾을 길이 없는 골프장인데 이후 스카이 코스라고 새로 증설하여 27홀이 되었고, 이번에는 스카이/레이크의 순서로 부킹했다. 이 골프장은 서울에서의 접근성이 별로지만 포천 진접쪽 길이 좋아지면서 그나마 가는 시간이 전보다는 줄었다. 서파삼거리에서 가평쪽으로 빠져서는 어느 사거리에서 우회전하면 가평베네스트, 좌회전하면 썬힐과 리앤리 등으로 갈린다. 국내 설계자가 산자락에 계단식으로 홀들을 쌓아놓은, 전형적인 코스라 보시면 된다. 18홀이었던 ..

충북 진천의 산속에 골프장을 만들어서 회원모집을 했던 아트밸리가 지금은 퍼블릭으로 바뀌어서 골프존카운티 진천으로 운영된다. 외진 위치라서 서울에서 가기는 힘들었어도 부킹이 쉽고, 가성비가 좋았으나 올해는 사정이 바뀌어서 이런 외딴 골프장도 간신히 티타임을 얻은 것에 감사하며 가야했으니 코로나가 우리나라 골프에 미친 영향은 실로 엄청나다. 여주의 스카이밸리나 충주 로얄포레 등을 설계했던 세림골프의 임충호 씨가 참여한 27홀 코스인데 편안하고 아름다운 코스에서 뜬금없이 어려운 홀들이 한두개 튀어나오는 스타일이라고 나는 느꼈다. 27홀의 코스는 레이크/밸리/마운틴 (예전의 아트 코스가 레이크로 이름을 바꿈) 코스인데 이날 우리는 밸리/레이크의 순서로 돈다. 거의 모든 홀에서 티샷은 해저드를 넘어가야 (그러나 ..

베뉴지 (Venue g)라는 생소한 이름은 서울에 있는 그랜드호텔에서 만든 (그런데 그랜드호텔이 어디에 있는지는 모름) 27홀 골프장이라고 한다. 여기를 가기로 하고서는 인터넷을 뒤적였더니 (전형적인 가평의 퍼블릭답게) 산자락에 층층이 페어웨이를 쌓아놓은 식이라고 하며, 설계자는 누구인지 찾을 길이 없었다. 아무튼 나는 가평의 산세를 매우 좋아하는 사람이고, 금요일 오후에 비교적 저렴한 그린피라 새로 생긴 골프장을 정복한다는 심정으로 떠났다. 가평의 골프장들이 서울에서 좀 멀긴 하지만 여기는 특히 청평과 가평 읍내를 지나가기 때문에 확실히 오래 걸렸다. 27홀의 코스는 지/휴/힐 코스라고 불리는데 휴/힐이 먼저 개장했다고 하며, 좀 나중에 손님을 받기 시작한 지 (G) 코스는 원래 계획으로는 회원전용이었..

여기도 레이크힐스 용인이던 시절에 갔었을 때는 별로 좋지도 나쁘지도 않았던 기억인데 주인이 바뀌고, 퍼블릭이 된 시점에는 대단히 좋은 골프장이라고 (아마도 쌩초보 시절에는 좋은지 나쁜지 제대로 판단하기가 힘들었던 모양) 느낀다. 레이크힐스라는 이름으로 국내 여기저기에 골프장들이 있었는데 원래 천룡 cc와 마에스트로도 한집안이었던, 대단한 규모의 골프장 운영업체였다. 천룡 cc는 지금도 원래의 주인이 소유한 모양이지만 레이크힐스는 파산이후 여기저기로 쪼개져서 대개는 골프존카운티가 운영하는 퍼블릭이 되었다 (운영만 맡긴 모양이고, 주인은 이름에서 연상되듯 한림건설이라는 회사라고 한다). 예전 홈페이지에는 Frank O'Dowd 씨가 만들었다고 나와있었지만 장정원 씨 설계라고 언급된 기사도 있었다. Frank..

미쳤다 싶을만큼 올라버린 올해 그린피에 그나마 부킹마저도 어려워진 탓에 또다시 멀리까지 가보는 평일 오후의 라운드. 이번에도 충주 근처까지 가는데 여기 주덕면이라는 동네는 (가서 보니까 이제는 읍이 되었다) 옛날에 마장동에서 출발하는 시외버스를 타고 가다보면 이제 충주가 가까와졌구나 졸린 눈을 비비고 기지개를 펴던 위치다. 주변의 달래강과 탄금대도 익숙한 곳이지만 그 시절에 골프장 따위는 있지도 않았고, 설령 있었다고 해도 저게 뭐지? 하고 지나쳤을 것이다. 송호 씨의 설계로 2012년에 개장한 18홀 코스인데 각 9홀 코스의 이름은 (정직하게도) 레이크/힐 코스다. 예전에 갔었던 당시에 로비에서 잡히는 와이파이 중에 "songho"가 있었던 것을 보면 그의 사무실이 여기 있었는지도 모르겠다. 가본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