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qRvUA/btqGGHmm1Mk/asm87yl6JzQ8wiNtHWG041/img.jpg)
서울의 북쪽, 포천이나 양주, 파주 등에도 좋은 골프장들이 많지만 불과 십년쯤 전에만 해도 접근성이 떨어지는 탓에 가격이 용인쪽에 비해 쌌다. 길이 좋아진 요즘에는 그린피가 많이 올랐는데 그래도 일동레이크나 베어크리크는 그때나 지금이나 국내 최고 수준의 명문 골프장이다. 베어크리크는 퍼블릭 코스로야 단연 국내 탑이라고들 하고, 회원제를 포함해서 평가하더라도 빠지지 않는, 좋은 코스인데 베어코스와 크리크 코스 각각 18홀씩으로 이루어진 골프장이다. 이중 칭송받는 코스가 크리크 코스이고, 베어코스는 조선잔디가 깔려있어서 취향에 따라 호불호가 있겠으나 크리크 코스가 보통은 만원정도 더 비싸다. 베어크리크 36홀은 장정원 씨의 설계로 2003년에 개장했었는데 몇년뒤에 노준택 씨가 크리크 코스만 리노베이션을 했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W3fW7/btqGC6l8tQl/olSbuQ210CF0qyKlwd7EK0/img.jpg)
싼맛에나 가는 곳이라고 예전에 누가 치를 떨면서 혹평하길래 제껴두었던 충주의 세일 cc를 드디어 간다. 로얄포레의 고속도로 건너편이기 때문에 서울에서 가자면 만만치 않은 거리인데 (코로나 탓에) 혹서기 할인이 실종되어버린 시국이라 그나마 싼 곳을 찾다보니 여기가 떠올랐다 (8월 초에 평일 그린피가 6만 9천원이지만 3인 플레이를 하자면 만원씩 추가된다고 함). 세일철강이라는 회사가 주인인 (바겐세일의 sale이 아님) 18홀 퍼블릭이며, 김명길 씨가 설계했다고 한다. 오랜 장마로 코스를 몇일간 폐쇄했다가 열었다는데 모처럼 비가 그치긴 했으나 질척거리고 덜 깎인 잔디에서의 라운드다. 산길/들길 코스로 이름이 붙었던데 마운틴/힐 이런 것보다는 정겨운 이름이었고, 우리는 산길 코스부터 시작했으니 이 순서가 1..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qeck8/btqCgmUKqZS/QWkAmFK9FY0ChyzmkMKcyk/img.jpg)
개장일이 1970년이라니까 50살이 넘은 이 골프장은 처음 이름이 부평 시사이드 컨트리클럽이었고, 연덕춘 씨가 설계자다.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회원제 골프장이지만 내게는 그리 끌리는 곳은 아니었는데 여전히 비회원에게는 폐쇄적이라 그런지도 모르겠다. 근방에 살던 시절에는 이런 곳에 골프장이 있는지도 몰랐으나 연덕춘 씨의 회고에 의하면 부평 시사이드를 국내에 제대로 된 골프장 설계의 개념이 시작된 시점으로 본다고 한다. 그전에 만들어진 한양 cc, 제주 cc 등은 지적도만 보고는 대충 눈짐작으로 코스를 만들어나갔다고 한다. 마치 미국의 퍼블릭처럼 길옆의 골프장을 곁눈질하며 클럽하우스에 들어오면 갑자기 70년대 세상이 펼쳐진다. 라커나 코스 곳곳이 40년쯤은 전혀 손대지 않은듯 보이고, 심지어는 캐디 평가지..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NV7jr/btqCgnsymZk/zFWjvFvtAp7Q33pZLPxpP1/img.jpg)
오래전에 가봤던 동네인데 여기를 갔었는지 바로 인근의 아시아드 cc를 갔는지 기억이 가물가물하던 터였다. 베이사이드는 김명길 씨가 설계한 27홀 골프장인데 코스의 이름은 파크/레이크/캐년이라고 한다. 기장이라는 동네에 있지만 바다가 보이는 골프장은 아니며, 위에 적은대로 아시아드와 (지금은 아마 LPGA 인터내셔널 부산으로 이름이 바뀐 모양인데 아무도 그렇게 아는 사람이 없다) 붙어있어서 택시기사도 종종 헷갈려한다. 이날은 부산에서의 일정을 마무리하고 귀가하는 날이라 오전 일찍 티타임인데 단체로 잡은 거라서 어느 코스를 도는지 모르는 상태에서 라운드를 시작했다. 결국 우리는 레이크/파크 코스의 순서였는데 거의 모든 홀에서 호수를 만나야하는 레이크 코스가 가장 어렵다고들 했다. 그리고 캐년 코스는 원래 퍼..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71Gvx/btqGmpFphA7/7Z6bGujANOcyH3pZoJDobK/img.jpg)
한국의 기업사에 길이 남을 현대그룹의 서산 간척지 사업이 남긴 것이 드넓은 농경지 말고도 더 있었다. 거기에 36홀의 골프장이 만들어져 2014년에 개장했는데 설계자는 백주영 씨라고 한다 (2016년에는 바로 인근에 현대솔라고라는 36홀 골프장이 새로 또 개장했던데 두 곳 모두 현대그룹과는 관련이 없다고 한다). 바다를 막아 땅이 된 곳이라 평평하고 바람부는 링크스 코스일 것인데 원래 이날의 계획은 지방에 갔다가 하루정도 더 머무르면서 운동을 하려는 것이었는데 세찬 장마비로 예정보다 일찍 귀경하게 된 것이다. 귀경길에 수원 정도까지 올라왔더니 비는 커녕 화창한 날씨로 바뀌었길래 다시 방향을 틀어 충남 태안까지 내려간다. 평일 오전임에도 한산한 서해안고속도로로 수원에서 태안까지는 한시간 반만에 도착이었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acnXe/btqCeuKyjON/FD0VZmsPvtxXXGuckxPJo0/img.jpg)
골프존이 운영하는 여러 퍼블릭 중에서 가장 먼저 가봤던 곳이 여기다. 이후에 다른 곳도 가보긴 했는데 (지금은 골프존카운티와 결별한) 안성 Q는 원래 회원제로 개장했던 곳이니만큼 관리상태가 좋았고, 웨스트파인에서 이름을 바꾼 안성 W는 그럭저럭. 안성 H는 처음에 이름이 안성큐 햄튼이었다가 망한 곳인데 인허가 비리로 당시의 안성시장과 국회의원 몇몇의 목이 날아가게 만든 악명높은 곳이다. 다른 골프존카운티 골프장들보다 여기를 가장 먼저 가본 이유는 설계자가 Gary Player라고 들었기 때문이었다. 우리나라에 게리플레이어 코스가 또 있는지는 모르겠으나 외국에서 몇차례 경험한 바로는 나름 철학이 깃든 디자인이라 느꼈던 바가 있었다. 실은 디자인이고 뭐고간에, 종종 싼 프로모션이 나오는 곳이어서 스코어는 죽..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YiEC9/btqCe4slmwj/FXuVvTw11ttPFcYCQ66VB0/img.jpg)
강원도 문막에 있는 오크밸리 리조트에는 오크밸리 36홀 (오크/메이플/파인/체리)과 오크힐스 18홀 등이 있는데 오크힐스는 겨울에는 스키장이기 때문에 높낮이 차이가 심하고 좀 좁아서 어려운데 오크밸리는 길어서 어렵다고들 했다. 나는 오크밸리를 비교적 자주 가본 편인데 의도한 바는 아니었지만 파인/체리 코스로만 계속 돌았다. 제2 영동고속도로가 뚫리기 전에는 새벽부터 먼 길을 운전하고 다녀와야했지만 이제는 용인이나 여주 골프장보다도 가까운 곳이 되었다 (덕택에 요새는 부킹이 쉽지 않게 되었다). 예전의 기억으로는 좋은 코스인데 길고 어려웠는데 Robert Trent Jones 코스에 대한 공포는 사라진 지 오래지만 아무튼 공이 잘맞았던 기억은 아니다. RTJ 주니어의 코스는 철저하게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2YBwn/btqB6IQC5ML/tyjQ9r7gNcQypDFKwQAod1/img.jpg)
경기도 포천에 가산노블리제cc라는 이름의 회원제 27홀 코스로 2010년에 개장했는데 망하고 퍼블릭으로 전환하면서 507명의 회원들이 입회금을 단 한 푼도 돌려받지 못한 국내 첫 사례로 기록되는 곳이라고 한다. 아무튼 이름을 푸른솔 골프클럽으로 바꿔서 다시 개장하면서 스카이 72 식의 서비스정신, 중간에 무료로 간식이 제공되는 것을 넘어서 그린피에 "식사가 포함" 식이어서 차츰 인기있는 골프장으로 변모했다. 나는 이번이 두번째 방문인데 처음 갔었던 2014년 9월에는 김모 프로와 카톡을 하다가 요즘 어디 불러주는 이들이 없네 했더니 그러면 지금 당장 나오실래요? 식의 번개 라운드를 했었다. 백돌이가 프로랑 치려니 그것만으로도 힘들어가는 일인데 산비탈에 계단식으로 층층이 쌓은 코스에 상당히 고생했었다. 서..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hpxgT/btqCd19gLET/KKQfMLVLwRJ8f1z0jRgaok/img.jpg)
여기가 선산 cc로 불리던 시절에 한번 가본 적이 있었는데 경상북도 구미까지 골프치러 갈 이유는 없었으나 경주에 회의하러 가는 길에 들러서 골프치고 가자는 제의가 있었고, 마침 회원권이 있던 이** 선생과 함께였기 때문에 저렴한 가격으로 갔었던 것이다. 여기는 설계자가 김윤태 씨와 시노키라는 일본인으로 나와있는 18홀 회원제 골프장인데 이 김윤태라는 분은 충주의 임페리얼레이크를 만들었다고 알고 있으나 시노키라는 이가 대체 누구인가는 아무도 모른다. 아무튼 일본식 정원코스를 기대하면 될 것이다. 얼마전에 골프존에서 인수해서 지금은 골프존카운티 선산이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 이쪽 동네에서는 인기가 좋다는 골프장인데 관리상태나 경치가 나쁘지 않았지만 처음 갔을 당시의 내 경험으로는 그저 넓고 길기만 했다는 느..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CLDOE/btqB6Y7OCq1/SgWdCWUjX39Oqh90Kz8kdk/img.jpg)
세종시의 회원제인 세종에머슨을 드디어 가보게 되었다. 레이크/밸리/마운틴이라는, 뻔한 이름의 코스로 이루어진 27홀인데 설계자는 스기하라 테루오 (杉原輝雄; 이 사람은 일본투어에서 통산 28승을 거둔 전설적인 골퍼)라는 일본인이다. 가본 사람들은 그저그런 코스라고, 관리는 잘해놓았지만 밋밋하다고, 평이 썩 좋지는 않았는데 (수십년전에 일본사람이 만든 골프장이니 대충 짐작이 간다) 비회원은 가보기 힘든 곳이라 한번은 가보고 싶었다. 처음에 (대전 엑스포와 맞물려 지어졌으나 정작 엑스포와는 아무런 상관도 없었다고 함) 개장할 때는 엑스포 골프장이었다가 거평그룹에 팔려서 프레야충남 컨트리클럽, 이후 IMG cc, 에머슨 내셔널을 거쳐 세종에머슨 cc로 이름이 바뀌어온 사연은 이제 우리나라 골프장에서는 매우 흔..